응급구조 관련 자격(이수증) 취득 후 CPR 및 자동심장충격기 활용법을 주변에 전파하고 있습니다.
항상 들어오는 질문으로 응급구조에 관한법률 제 5조의 2에서 (일반인 구조자) 사망시 책임 감면 이 있는데요..
여태까지 일반인 구조자가 구조대상의 사망으로 인해 형사처분을 받게 된 판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.
더불어, 구조대상이 여성일 경우 상의 탈의, 가슴부위 접촉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에 대해서도
민,형사상 판례가 있다면 알려주세요
눈 앞에 환자가 있다면 망설임 없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야 하고, 그렇게 해야한다고
전파하고 싶습니다.
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인 두려움과 망설임을 해소시킬만한 답변 기대해 봅니다.
감사합니다.
번호 | 제목 | 작성일 | 조회수 |
---|---|---|---|
10 | 2021년도 일정 안내 요청 | 2020-12-31 | 13 |
9 | 운영하는게 맞나요?? | 2020-07-12 | 78 |
8 | 이미 늑골이 골절된 환자는 정석대로 심폐소생술을 해야하나요? | 2019-07-18 | 271 |
7 | 응급구조에 관한법률 제 5조의 2 사망시 책임 감면에 관하여 | 2018-07-30 | 437 |
6 | 가슴압박 도중 갈비뼈가 골절되면 어떻게 하나요? | 2016-09-13 | 400 |
5 | ![]() | 2016-09-13 | 4369 |
4 | 모르는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다가 갈비뼈를 골절시켰다고 소송당.. | 2016-09-05 | 518 |
3 | ![]() | 2016-09-05 | 1775 |
2 | 인공호흡은 하지 않아도 되나요? | 2016-09-05 | 426 |
1 | ![]() | 2016-09-05 | 681 |